세션 연계 상담 신청

행사개요

오시는 길

  • 위치
    엘타워 5층(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13)
  • 지하철
    3호선/신분당선 양재역 9번 출구에서 22m

세션소개

  • S1 [9.11(목) 09:30~12:10] | 미국 시장 진출전략(Market Access) - FDA 승인후, 보험 등재를 통한 미국 진출 실전 전략

    • 미국 보험 시장 개요
      이상수
      이상수
      메드트로닉코리아 / 부사장
      닫기
      이상수
      이상수
      메드트로닉코리아 / 부사장

      미국 보험 시장 개요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2015.03~2017.02,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
          2002.03~2004.08,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경제학 석사(수료)
          1999.08~2000.08, 헬싱키 경영경제대학원 경영학 석사
          1991.03~1997.02,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 학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04.10 ~ 현재, 메드트로닉코리아 전무/대외협력
          1996.06 ~ 2004.10,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차장/인허가&보험급여

        • Research Interests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진입 전략
          글로벌 보건의료 정책
          글로벌 의료기술평가
          글로벌 경제성분석
          글로벌 보험급여 및 지불보상제도

        • Honors & Awards

          2019.11 :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위원 혁신적인 리더상
          2015.02 : 보건복지부 장관상

        • Publications

          [학술 논문지]
          “Delayed Patient Access to Innovative Medical Technologies in South Korea: A Lead-Time Analysis of Reimbursement Coverage Determi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019;35(3):229-236
          “Moon Care and Preliminary Benefit Program in South Korea: Innovative Strategies in Post-Market Evidence Generation for Medical Devices”, J Health Tech Assess, 2018;6(1):33-42.
          외 다수

      • Abstract
        • 미국 보험 시장 개요

          본 발표는 미국의 보건의료 보험시장을 공보험(Medicare, Medicaid 등)과 사보험(상업보험, 고용주 기반 보험 등)으로 구분하여 개요를 설명하고, 각각의 보험제도에서 보장하는 보험급여 범위와 운영 메커니즘을 소개합니다. 아울러, Fee-for-Service(FFS), Bundled Payment, Value-Based Payment(VBP) 등 미국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지불보상(payment) 방식과 최근 정책 동향도 함께 살펴봅니다. 본 발표는 한국의 보건의료 제도와 비교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중심으로, 글로벌 보건산업 종사자들이 미국 시장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 Reimbursement for Medical Devices in the United States
      Thomas A. Gustafson
      Thomas A. Gustafson
      Arnold & Porter / Senior Policy Advisor
      닫기
      Thomas A. Gustafson
      Thomas A. Gustafson
      Arnold & Porter / Senior Policy Advisor

      Reimbursement for Medical Devices in the United States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Ph.D. in Economics, Yale University
          B.A., Williams College

        • Professional Experience

          Arnold & Porter LLP (2008–Present)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CMS) (1985–2007)

        • Research Interests

          의료 서비스의 지불 및 보험 적용 정책
          Medicare 및 Medicaid 시스템 설계 및 운영
          의료기기 및 실험실 서비스의 코드화 및 보상 구조
          건강 경제학 및 정책 분석

        • Honors & Awards

          Distinguished Executive Presidential Rank Award (2004)
          Meritorious Executive Presidential Rank Award (2000)

      • Abstract
        • Introduction to Reimbursement for Medical Technology

          이번 세션에서 Thomas Gustafson 박사는 미국 의료기기 시장에 진입하려는 제조업체들이 보험 보상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즉, 제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받은 이후,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제품에 대해 비용을 지급받기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 다룬다.

          그는 제3자 보험에서 기기의 보장을 받기 위한 전략과 시기, 제조업체가 청구 코드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술, 그리고 지불 금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발표는 주로 Medicare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며, Medicare는 고령자와 장애인을 위한 주요 건강 보험 프로그램이자 가장 규모가 크고 투명한 지불 기관이다. 또한 Medicare와 민간 보험 간의 보상 방식 차이도 다룰 것이다.

          병원 입원 및 외래 진료, 외래 수술 센터, 의사 진료소, 가정용 내구성 의료기기(Durable Medical Equipment)에 대한 Medicare의 지불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설명도 포함될 예정이다.

    •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 The role of KOLs
      Alexander W. Pastuszak
      Alexander W. Pastuszak
      University of Utah / MD, PhD
      닫기
      Alexander W. Pastuszak
      Alexander W. Pastuszak
      University of Utah / MD, PhD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 The role of KOLs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B.S., Yale University
          M.D./Ph.D.,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Ph.D. in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Residency, Urology — Baylor College of Medicine
          Fellowship, Male Reproductive Medicine & Surgery — Baylor College of Medicine

        • Professional Experience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Urology) & Chief, Section for Surgical Innovation — University of Utah School of Medicine
          Board-certified urologist specializing in male infertility, erectile dysfunction (ED), hypogonadism, Peyronie’s disease, and sexual dysfunction
          Co-founder & CEO — Paterna Biosciences (in vitro gamete maturation technologies for infertility)
          Former President of Clinical Care & Chief Medical & Scientific Officer — Vault Health (led national clinical practice; diagnostics, clinical research & development)
          Advisor/investor/board member to multiple healthcare and biotech ventures

        • Research Interests

          Genetics of male infertility
          Biological mechanisms of erectile dysfunction
          Pathophysiology of Peyronie’s disease
          Translational sexual medicine and outcomes research
          Innovation in reproductive technologies, including in vitro spermatogenesis

        • Honors & Awards

          Ongoing NIH research funding
          Urology Care Foundation “Rising Stars in Urology” Award
          Invited international speaker and educator in men’s health and urology

        • Publications

          140+ peer-reviewed articles
          Numerous book chapters
          Editor of two textbooks on reproductive and sexual health

      • Abstract
        • Introduction to Reimbursement for Medical Technology

          Alexander W. Pastuszak 박사(MD, PhD)는 미국 유타대학교의 비뇨기과 전문의이자 외과학과의 수술 혁신 부문 책임자로 재직 중인 부교수입니다. 그는 남성 생식 및 성 건강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권위자로, 남성 불임, 발기부전(ED), 남성 호르몬 결핍증(저테스토스테론증),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 치료를 전문으로 합니다. 또한 생식 유전학 및 성의학 분야에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연구 지원을 받아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
          Pastuszak 박사는 140편 이상의 피어 리뷰 논문과 여러 권의 책 챕터, 두 권의 교과서를 집필했으며, 연쇄 창업가로서 여러 회사를 창립하거나 공동 창립했으며 그중 일부는 성공적으로 매각되었습니다. 현재 그는 Paterna Biosciences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미국 보험 시장 진출 사례
      서민수
      서민수
      태웅메디칼 USA / 대표이사
      닫기
      서민수
      서민수
      태웅메디칼 USA / 대표이사

      미국 보험 시장 진출 사례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2008 삼척대학교 관광일본어

        • Professional Experience

          2018.12 ~ 현재 : TaeWoong Medical USA, 미국 캘리포니아 – 최고경영자(CEO)
          2016.7 ~ 2018.11 : DWD Medical, 미국 캘리포니아 – 영업 및 마케팅 총괄이사
          2012.11 ~ 2015.7 : Guerbet LLC, 미국 캘리포니아 – 영상사업부 전국 총괄 매니저
          2010 ~ 2012 : Guerbet Korea, 서울 – 의료 영업팀
          2008 ~ 2010: 태웅메디칼, 경기도 일산 – 영업사원

        • Research Interests

        • Honors & Awards

        • Publications

      • Abstract
        • 미국 보험 시장 개요

          미국 의료기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태웅메디칼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보험 정보 획득 방법과 전략 수립, 실행 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더불어 보험 등재 이전 단계에서의 비급여(Non-reimbursed) 시장 진입 전략과 병원,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제품 확산 사례도 함께 소개하여, 국내 기업의 미국 시장 진입을 위한 실질적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보험 정보 획득 전략
          - 실제 진입 전략 및 실행 과정
          - 시행착오 및 인사이트

  • S2 [9.11(목) 13:30~15:50] | K-메드텍, 글로벌로 나아가기 위한 실전 오픈이노베이션

    • 글로벌 산업을 변화시키는 오픈 이노베이션 트렌드
      노태우
      노태우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 부교수
      닫기
      노태우
      노태우
      한양대학교 교수

      글로벌 산업을 변화시키는 오픈 이노베이션 트렌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 학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 석사(국제통상)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박사(국제경영/전략)

        • Professional Experience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 Research Interests

          비시장전략, 국제경영전략, 개방형혁신, 디지털전략, 제도이론

        • Honors & Awards

          2025 한국경영학회 매경신진학자논문상
          2025 Springer Nature 편집 공로상
          2025 한양대학교 최상위논문연구자
          2024 Stanford/Elsevier Top 2% Scientist
          2024 Emerald Literati Awards, Outstanding Reviewer
          2024 한국국제경영학회 해외 우수 논문상
          2024 한국무역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2023 한국무역학회 학술대상

        • Publications

          국내외 저명학술지 190여편 게재

    • Navigating APAC : Insights for successful commercial partnership
      김형주
      김형주
      Roche DIagnostics APAC / 전무
      닫기
      김형주
      김형주
      Roche DIagnostics APAC / 전무

      Navigating APAC : Insights for successful commercial partnership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Jul.2018 – Dec.2018 | Online MBA_SHAPE, Sogang University, South Korea
          Mar.1990 – Feb.1994 | Bachelor’s degree in Organic Chemistry, MyongJi University, South Korea

        • Professional Experience

          Oct. 2024 – Present | Subchapter Lead of Innovation & Partnering in Roche Diagnostics, APAC
          Nov. 2023 – Sep. 2024 | Head of Strategic Business Development in Roche Diagnostics, Korea (LT member, IWN APAC Ambassador lead)
          Jan.2021 – Oct. 2023 | Head of Pathology Lab in Roche Diagnostics, Korea (LT member, One Roche Ambassador, IWN APAC Ambassador lead)
          Jan.2019 – Dec. 2020 | Marketing director of CPS in Roche Diagnostics, Korea (LT member)
          Mar.2017 – Dec. 2018 | Senior Marketing Manager of CPS in Roche Diagnostics, Korea
          Jan.2016 – Feb.2017 | Medical Value Marketing Manager of CPS in Roche Diagnostics, Korea
          Jan.2013 – Dec.2015 | Medical Marketing Team Leader of CPS in Roche Diagnostics, Korea

      • Abstract
        • I will begin with an introduction to Roche and discuss our current partnership projects across the APAC region.
          Additionally, I will share insights and offer advice to companies interested in collaborating with Roche Diagnostics, highlighting key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partnerships.

    • 오픈이노베이션, 글로벌로 가는한국 의료기기의 실현 전략
      임민혁
      임민혁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 전무
      닫기
      임민혁
      임민혁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 전무

      오픈이노베이션, 글로벌로 가는한국 의료기기의 실현 전략

      • Curriculum Vitae
    • Medtech Innovator APAC LIVE: Where Medtech Innovation Meets Opportunity
      Fredrik Nyberg
      Fredrik Nyberg
      MTI APAC / Managing Director
      닫기
      Fredrik Nyberg
      Fredrik Nyberg
      MTI APAC / Managing Director

      Medtech Innovator APAC LIVE: Where Medtech Innovation Meets Opportunity

      • Abstract
        • Fredrik is the Managing Director Asia Pacific at MedTech Innovator, the world’s largest accelerator for startups in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 and in vitro diagnostics. He is based in Singapore. Under his leadership, 124 startups have graduated from the accelerator program and gone on to raise well over US$ 200 million in follow-on funding.

          Prior to joining MedTech Innovator, Fredrik was the Founding CEO of Asia Pacific Medical Technology Association (APACMed). He brings over 30 years of healthcare industry experience, 25 of which were spent in Asia-Pacific. He has held senior sales/ marketing, general management and strategic consulting positions. Fredrik serves as Board Member and advisor to several healthcare startup ventures and is a frequent speaker on the healthcare industry in Asia-Pacific. He holds a BSc from Gothenburg University, Sweden, and an MBA from Henley Management College, UK.

    • 패널 토의: Real Talk with MTI APAC Alumni: Stories of Collaboration and Growth
      황성은
      [좌장] 황성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단장
      닫기
      [좌장]황성은
      [좌장] 황성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단장

      패널 토의: Real Talk with MTI APAC Alumni: Stories of Collaboration and Growth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석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21.9 ~ Director, Department of Medical Device Industry, KHIDI
          2017. 9 - 2021.8 Director General, KHIDI Abu Dhabi, KHIDI
          2016. 2 - 2017.8 Director, Department of Global Healthcare, KHIDI
          2014. 12 - 2016.1 Team Leader, Department of Global Healthcare, KHIDI
          2013. 8 - 2014.12 Team Leader, Department of Medical Device Industry, KHIDI
          2002~2013 Director, Life Care Solution, GE Healthcare

    • [패널] Fredrik Nyberg
      [패널] Fredrik Nyberg
      MTI APAC / Managing Director
      닫기
      [패널] Fredrik Nyberg
      [패널] Fredrik Nyberg
      MTI APAC / Managing Director

      • Abstract
        • Fredrik is the Managing Director Asia Pacific at MedTech Innovator, the world’s largest accelerator for startups in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 and in vitro diagnostics. He is based in Singapore. Under his leadership, 124 startups have graduated from the accelerator program and gone on to raise well over US$ 200 million in follow-on funding.

          Prior to joining MedTech Innovator, Fredrik was the Founding CEO of Asia Pacific Medical Technology Association (APACMed). He brings over 30 years of healthcare industry experience, 25 of which were spent in Asia-Pacific. He has held senior sales/ marketing, general management and strategic consulting positions. Fredrik serves as Board Member and advisor to several healthcare startup ventures and is a frequent speaker on the healthcare industry in Asia-Pacific. He holds a BSc from Gothenburg University, Sweden, and an MBA from Henley Management College, UK.

    • [패널] 배현진
      [패널] 배현진
      프로메디우스 / 대표
      닫기
      [패널] 배현진
      [패널] 배현진
      프로메디우스 / 대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 박사 졸업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 석사 졸업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 및 물리학 학사 졸업

        • Professional Experience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리서치펠로우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방문연구원

        • Research Interests

          의료 AI

        • Honors & Awards

          National Junior Research Fellow

        • Publications

          M Jang, HJ Bae, Image Turing test and its applications on synthetic chest radiographs by using the progressive grow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Scientific Reports (2023)
          HY Park, HJ Bae, Realistic high-resolution body computed tomography image synthesis by using progressive grow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visual turing test, JMIR Medical Informatics (2021)
          M Kim & HJ Bae,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for Deep Learning-Based Medical Image Analyses, JKSR (2020)

      • Abstract
        • 본 패널토의에서는 MedTech Innovator APAC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해당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은 경험과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 [패널] Mark Chang
      [패널] Mark Chang
      APrevent Medical Ltd. / COO
      닫기
      [패널] Mark Chang
      [패널] Mark Chang
      APrevent Medical Ltd. / COO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PhD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Professional Experience

          2015– present Co-Founder, COO and CTO at APrevent
          2009 – 2015 Senior Engineer at Talas Engineering (San Francisco Bay Area)

        • Research Interests

          Biomechanics, material properties, machine learning

        • Honors & Awards

          2024 Medtech Innovator APAC Grand Prize
          2022 Qualcomm Innovate in Taiwan Challenge (QITC) Winner
          2009 John Paul Stapp Best Paper Award
          2008 Stapp Student Paper Award

        • Publications

          1. Misbullah, A., Yeh, H.W., Chang, C.Y. “Dysarthric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Life-Long Learning Technique in Taiwan Mandarin,” Data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2024
          2. Lin, Y.Y., Zheng, W.Z., Chu, W.C., Han, J.Y., Huang, Y.H., Ho, G.M., Chang, C.Y., Lai, Y.H. “A Speech Command Control-Based Recognition System for Dysarthric Patient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Applied Sciences, 11, 2477, 2021
          3. Hsiao, C.J., Han, J.Y., Zheng, W.Z., Ho, G.M., Chang, C.Y., Lai, Y.H. “Performance Enhancement of a Pathological Voice Quality Evaluation System Using a Self-Attention Model,” 43rd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 Biology Society (EMBC), 2021
          4. Misbullah, A., Lin, H.H., Chang, C.Y., Yeh, H.W., Weng, K.C. “Improving Acoustic Models for Dysarthric Speech Recognition using Time Delay Neural Networks,” 2020 ICELTIC
          5. Chang, C.Y., Desautels, D.M., White, K., Serina, E.R. “Lumbar Loads while Operating Vehicles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7th World Congress of Biomechanics, Boston, MA, July 2014.
          6. Chang, C.Y., Serina, E.R., “Industrial Helmet Effectiveness in Mitigating Head Accelerations in Impacts with Rigid Surfaces,” 7th World Congress of Biomechanics, Boston, MA, July 2014.
          7. Chang, C.Y., Rupp, J.D., Reed, M.P., Ashton-Miller, J.A., Hughes, R.E., Kikuchi, N., Schneider, L.W. (2009) Prediction of the Effects of Lower-Extremity Muscle Forces on Knee, Thigh, and Hip Injuries in Frontal Motor Vehicle Crashes. Stapp Car Crash Journal 53.
          8. Hu, J., Rupp, J.D., Lamb, T., Chang, C.Y., Schneider, L.W. (2009) Finite Element Investigation of Effects from Muscle Tension, Preimpact Posture, Seat position, and Torso Restraint on the Risk of Knee-Thigh-Hip Injuries in Frontal Crashes.
          9. Chang, C.Y., Rupp, J.D., Kikuchi, N., Schneider, L.W. (2008) Development of a finite element model to stud the effects of muscle forces on knee-thigh-hip injuries in frontal crashes. Stapp Car Crash Journal 52: pp. 475-504.
          10. Liu, D.S., Chang, C.Y., Fan, C.M., Hsu, S.L. (2003).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energy absorption degradation of polystyrene foam in protective helmets.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10, pp.581-591.
          11. Computational Injury Biomechanics. Invited Presentation. UMTRI student seminar, July 2008.
          12. Development of a lower-extremity finite element model to study the effects of muscle forces on knee-thigh-hip injuries in frontal crashes. 2006 Injury Biomechanics Symposium, Columbus OH, May 2007.

      • Abstract
        • Mark Chang is an entrepreneur and engineering problem solver. He likes science and technology and is constantly on the hunt for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make an impact. Mark is the Co-Founder and Chief Operation Officer and Chief Technical Officer of APrevent. Their mission is to offering the most advanced technologies for individuals with voice and speech disorders, with the goal of dramaticall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Mark went to graduate school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Ann Arbor and earned his PhD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He was an engineering consultant at San Francisco Bay Area for 6 years before starting APrevent.

    • [패널] 강상구
      [패널] 강상구
      메디사피엔스 / 대표
      닫기
      [패널] 강상구
      [패널] 강상구
      메디사피엔스 / 대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87~1991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학부
          1997~1999 듀크대학교 MBA

        • Professional Experience

          1994~1997 LG U+ (formerly known as DACOM)
          1998 JP Morgan
          1999~2002 Nortel Networks
          2004~2007 Samsung USA
          2007~2009 Toshiba America
          2010~2013 3M
          2014~2017 JS Link (formerly known as DNA Link)
          2017~ CEO of MedySapiens, Inc.
          2024~ Adjunct Professor of PharmMBA, Dongguk University

        • Research Interests

          Biomedical, Digital Healthcare, AI

        • Honors & Awards

          2023 중기부장관상
          Fortune Korea’s top 40 Innovation 2025
          Forbes Asia 100 to Wach companies

  • S3 [9.11(목) 15:30~17:30] | 의료진 관점에서 본 의료로봇의 성공조건

    • 의료 로봇의 현실 세계 도입: 혈관 중재 로봇의 경험
      최재순
      최재순
      울산대학교 & 서울아산병원 / 교수
      닫기
      최재순
      최재순
      울산대학교 & 서울아산병원 / 교수

      의료 로봇의 현실 세계 도입: 혈관 중재 로봇의 경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공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협동과정 공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협동과정 공학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16년–현재, 울산의대 의공학교실 부교수(2016), 교수(2022–현재) /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2012년–2016년,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부교수
          2007년–2012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 Research Interests

          수술 로봇, 중재 로봇, 재활 로봇, 메카트로닉스, 시뮬레이션, 의료기기 안전 표준

        • Honors & Awards

          2020년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

      • Abstract
        • 의료로봇 동향 및 실용화 경험

          본 발표에서는 Physical AI의 개념을 중심으로 수술 로봇의 발전 과정과 미래의 방향을 조망합니다. Physical AI는 기존의 산업용 로봇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조직 변형이나 출혈과 같은 수술 중 예기치 못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술 로봇의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앞으로 수술 로봇은 감독 하 자율성(supervised autonomy)의 고도화, 인간-로봇 협업의 강화, 소형화, 그리고 대형 언어모델(LLM)이나 비전-언어 모델(VLM) 같은 파운데이션 모델의 통합이라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와 로봇 기술을 포함한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보는 하나의 단일한 혁신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디지털 전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 신장 결석 수술 로봇
      이동호
      이동호
      로엔서지컬 / CTO
      닫기
      이동호
      이동호
      로엔서지컬 / CTO

      신장 결석 수술 로봇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2016.09 ~ 2021.08 박사, 로봇공학 전공, 한국과학기술원
          2014.09 ~ 2016.08 석사, 로봇공학 전공, 한국과학기술원

        • Professional Experience

          2024.02 ~ Present Chief Technology Officer(CTO), 로엔서지컬
          2022.07 ~ 2024.01 연구소장, 로엔서지컬
          2021.04 ~ 2022.06 책임연구원, 로엔서지컬

        • Research Interests

          의료로봇, 유연 수술 로봇, Surgical AI, Physical AI

        • Honors & Awards

          Best Paper Award,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Aided Surgery 2018, Nov. 2018, China
          Overall Winner & Best Application Award at the Surgical Robot Challenge, Hamlyn Symposium 2018, June, 2018, UK
          Presidential Prize, International Robot Contest 2012, Oct. 2012, Korea

      • Abstract
        • 이 발표에서는 신장 결석 치료를 위한 내강 비침습 수술 로봇인 “ZAMENIX”의 개발 및 상용화 과정을 소개합니다. ZAMENIX는 요관 및 신장 결석 제거를 위한 로봇으로, 유연한 요관경, 레이저 섬유, 결석 바스켓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수술자는 수술 상황이나 선호도에 따라 레이저 분쇄(dusting) 또는 결석 제거(retrieval) 기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상용 유연 요관경을 장착할 수 있으며, 방사선 차폐용 납복을 착용하지 않고도 단일 수술자가 요관경과 기구를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수술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 기능도 제공합니다. 첫 번째는 자동화 기능으로, 요관경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어 결석 제거와 같은 반복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과도한 크기의 결석 제거를 감지하여 요관 손상을 예방하는 기능입니다. 세 번째는 호흡 보상 기능으로, 환자의 신장이 호흡에 따라 움직일 때에도 레이저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위한 최초의 인간 대상 임상시험은 높은 결석 제거율과 주요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현재는 이 로봇 보조 기술이 환자 치료 결과를 얼마나 향상시키는지를 검증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상용화 과정에서는 GMP 및 ISO13485 인증 획득, 기계/전기 안전성 시험, 전자파 적합성 시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도전 과제가 있었습니다. 모든 개발 및 제조 정보는 추적 가능하도록 문서화되어야 했습니다. 또 다른 과제는 조직 운영, 연구개발, 임상시험, 생산 및 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 확보였습니다. 궁극적인 도전은 한국 NECA(근거중심의료기술연구기관)로부터 요양급여 코드(reimbursement code)를 획득하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이 많은 로봇 연구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을 꿈꾸는 데에 용기를 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의료진 관점에서 본 의료로봇의 성공 조건: 수술로봇 해외사례
      Chester Koh
      Chester Koh
      Texas Children’s Hospital; Southwest-Midwest National Pediatric Device Innovation Consortium (SWPDC) / Professor; Executive Director
      닫기
      Chester Koh
      Chester Koh
      Texas Children’s Hospital; Southwest-Midwest National Pediatric Device Innovation Consortium (SWPDC) / Professor; Executive Director

      의료진 관점에서 본 의료로봇의 성공 조건: 수술로봇 해외사례

      • Abstract
        • 의료진 관점에서 본 의료로봇의 성공 조건: 수술로봇 해외사례

          이번 발표는 Medtech Insight 2025 행사 내 “의료 로봇 특집 세션”에서 진행됩니다. 체스터 고 박사는 Da Vinci, Hugo, Asensus 등 미국에서의 로봇 플랫폼 출시 경험을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며, 청중에게 매우 유익하고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수술로봇 도입과 병원의 역할
      송상훈
      송상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닫기
      송상훈
      송상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수술로봇 도입과 병원의 역할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97-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대한민국 -의학사(MD)
          2005-200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서울, 대한민국 – 의학석사(MS)
          2011-201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서울, 대한민국 – 의학박사(PhD)

        • Professional Experience

          2011–2012 임상강사, 비뇨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2–2013 임상강사, 비뇨의학과, 서울아산병원
          2013–2017 임상조교수, 비뇨의학과, 서울아산병원
          2018–2023 부교수, 비뇨의학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2021-현재 아산생명과학연구원 과학기획조정실 부실장

        • Research Interests

          소아비뇨의학
          로봇 및 최소침습수술
          비뇨기계 기형 및 재건수술
          비뇨기 질환 진단 및 영상/AI 활용
          배뇨장애, 요실금, 요도협착 등의 기능성 비뇨기질환 연구

        • Honors & Awards

          2015.11.10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 비디오상
          2017.05.28 대한비뇨초음파학회 우수연구상
          2017.09.28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연구상
          2018.04.07 대한소아비뇨의학회 Ferring Award (최우수연구상)
          2018.10.04 제38회 국제비뇨의학회(SIU 2018) 최우수 포스터상
          2021.04.17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최우수논문상
          2021.10.08 제1회 KSER 로봇비뇨수술 비디오학술대회 소아·양성질환 부문 2위
          2021.11.05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 초록발표상
          2022.04.02 대한소아비뇨의학회 Ferring Award (최우수연구상)
          2022.05.29 대한비뇨초음파학회 연구비 지원상
          2022.10.22 아시아·태평양소아비뇨학회(APAPU 2022) 다이아몬드상
          2023.04.08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윤울로상 (최우수연구상)

        • Publications

          1) Surgical Technique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Urology, Chapter 59: Ureterocele Incision,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The Health Sciences Publisher, New Delhi/London, ISBN: 978-93-5270-204-6
          2) 비뇨의학 제 6판, 성분화이상, Chapter 35, 대한비뇨의학회, 일조각, ISBN: 978-89-337-0764-7 93510

          논문(Corresponding & First Author 중심)
          Song SH 외. Long-term Outcomes of Endoscopic Anti-reflux Surgery in Pediatric Patients with Vesicoureteral Reflux. J Korean Med Sci. 2018.
          Han JH, Song SH 외. Best ultrasound parameter for prediction of adverse renal function outcome after pyeloplasty. Int J Urol. 2020.
          Song SH 외. Preoperative Bladder Bowel Dysfunction... after Robot Assisted Laparoscopic Ureteral Reimplantation. J Endourol. 2021.
          Song SH 외. Deep-learning segmentation of ultrasound images... hydronephrosis. Investig Clin Urol. 2022.
          Kim YI, Song SH 외. Deep-Learning Segmentation of Urinary Stones... J Endourol. 2023. Song SH 외. Mesenchymal stem cells with an enhanced antioxidant capacity... Clin Transl Med. 2024. Kim DS, Song SH 외. Transurethral resection of an uncommon Brunn's cyst... Urology Journal. 2024.

          기타 활동(학회 등)
          2009–현재 대한비뇨의학회 정회원
          2012–현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정회원
          2021–현재 대한전립선학회, 대한내시경로봇비뇨의학회 위원
          2021–2023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총무이사
          2021–2023 대한소아요실금학회 학술위원장
          2023–현재 대한비뇨의학회 부총무이사
          2023–현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대외협력위원장
          2023–현재 대한소아요실금학회 대외협력위원장

      • Abstract
        • 수술로봇 도입과 병원의 역할

          의료용 로봇 산업은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며 핵심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외과 수술의 정밀도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회복 시간을 단축하며, 의료진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등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는 이러한 중대한 전환기에 놓인 의료용 로봇 산업의 현재를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글로벌 시장의 최신 기술 동향, 주요 경쟁 구도, 그리고 국내 시장의 특수성을 면밀히 분석할 것입니다. 나아가, 국산 수술 로봇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병원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병원은 단순한 기술 수용자를 넘어, 국산 기술의 임상 효용성을 검증하고, 의료 현장에 최적화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기술 고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의료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로봇 도입을 위한 장기적인 재정 및 운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성공적인 기술 통합의 핵심 과제입니다. 궁극적으로, 병원과 국내 로봇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은 환자에게 최첨단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국내 의료 기술 생태계의 자생적 성장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입니다.

    • 패널 토의 : 수술로봇의 임상 실용화, 무엇이 성공을 좌우하는가?
      [좌장] 이 성
      [좌장] 이 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 교수
      닫기
      [좌장] 이 성
      [좌장] 이 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 교수

      패널 토의 : 수술로봇의 임상 실용화, 무엇이 성공을 좌우하는가?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96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2003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2008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센터장, 한국의료로봇센터
          위원장 , 대한 척추신경외과학회, 로봇수술위원회
          이사, 아시아-태평양 경추 연구회(Asia Pacific Cervical Spine Society, APCSS)
          이사, 총무이사 (2024),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제2대 회장, 한국 Unilateral Biportal Endoscope (UBE) 연구회
          학술위원장, ISASS AP 2023
          학술위원장, KOSASS

        • Research Interests

          척추 수술
          척추 수술 분야의 로봇 개발 및 혁신
          경추 인공 디스크 및 장치 개발
          최소 침습 척추 수술 (MIS)
          내시경 척추 수술
          최소 침습 요추 및 흉추 유합술
          초기 단계의 로봇 척추 수술
          척수 종양, 척수 내 종양
          뇌 및 인지 공학
          신경 보철기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뇌 및 척추의 방사선 수술, 사이버나이프

        • Honors & Awards

          2006. Best Paper (Uh Jeong Hyun) Award,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7. Best Research Paper (Lami) Award, The Korean Spinal Neurosurgery Society.
          2022. Ministerial Cit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패널] 최재순
      [패널] 최재순
      울산대학교 & 서울아산병원 / 교수
      닫기
      [패널] 최재순
      [패널] 최재순
      울산대학교 & 서울아산병원 / 교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공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협동과정 공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협동과정 공학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16년–현재, 울산의대 의공학교실 부교수(2016), 교수(2022–현재) /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2012년–2016년,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부교수
          2007년–2012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 Research Interests

          수술 로봇, 중재 로봇, 재활 로봇, 메카트로닉스, 시뮬레이션, 의료기기 안전 표준

        • Honors & Awards

          2020년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

      • Abstract
        • 의료로봇 동향 및 실용화 경험

          본 발표에서는 Physical AI의 개념을 중심으로 수술 로봇의 발전 과정과 미래의 방향을 조망합니다. Physical AI는 기존의 산업용 로봇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조직 변형이나 출혈과 같은 수술 중 예기치 못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술 로봇의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앞으로 수술 로봇은 감독 하 자율성(supervised autonomy)의 고도화, 인간-로봇 협업의 강화, 소형화, 그리고 대형 언어모델(LLM)이나 비전-언어 모델(VLM) 같은 파운데이션 모델의 통합이라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와 로봇 기술을 포함한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보는 하나의 단일한 혁신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디지털 전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 [패널] 이동호
      [패널] 이동호
      로엔서지컬 / CTO
      닫기
      [패널] 이동호
      [패널] 이동호
      로엔서지컬 / CTO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2016.09 ~ 2021.08 박사, 로봇공학 전공, 한국과학기술원
          2014.09 ~ 2016.08 석사, 로봇공학 전공, 한국과학기술원

        • Professional Experience

          2024.02 ~ Present Chief Technology Officer(CTO), 로엔서지컬
          2022.07 ~ 2024.01 연구소장, 로엔서지컬
          2021.04 ~ 2022.06 책임연구원, 로엔서지컬

        • Research Interests

          의료로봇, 유연 수술 로봇, Surgical AI, Physical AI

        • Honors & Awards

          Best Paper Award,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Aided Surgery 2018, Nov. 2018, China
          Overall Winner & Best Application Award at the Surgical Robot Challenge, Hamlyn Symposium 2018, June, 2018, UK
          Presidential Prize, International Robot Contest 2012, Oct. 2012, Korea

      • Abstract
        • 이 발표에서는 신장 결석 치료를 위한 내강 비침습 수술 로봇인 “ZAMENIX”의 개발 및 상용화 과정을 소개합니다. ZAMENIX는 요관 및 신장 결석 제거를 위한 로봇으로, 유연한 요관경, 레이저 섬유, 결석 바스켓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수술자는 수술 상황이나 선호도에 따라 레이저 분쇄(dusting) 또는 결석 제거(retrieval) 기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상용 유연 요관경을 장착할 수 있으며, 방사선 차폐용 납복을 착용하지 않고도 단일 수술자가 요관경과 기구를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수술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 기능도 제공합니다. 첫 번째는 자동화 기능으로, 요관경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어 결석 제거와 같은 반복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과도한 크기의 결석 제거를 감지하여 요관 손상을 예방하는 기능입니다. 세 번째는 호흡 보상 기능으로, 환자의 신장이 호흡에 따라 움직일 때에도 레이저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위한 최초의 인간 대상 임상시험은 높은 결석 제거율과 주요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현재는 이 로봇 보조 기술이 환자 치료 결과를 얼마나 향상시키는지를 검증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상용화 과정에서는 GMP 및 ISO13485 인증 획득, 기계/전기 안전성 시험, 전자파 적합성 시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도전 과제가 있었습니다. 모든 개발 및 제조 정보는 추적 가능하도록 문서화되어야 했습니다. 또 다른 과제는 조직 운영, 연구개발, 임상시험, 생산 및 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 확보였습니다. 궁극적인 도전은 한국 NECA(근거중심의료기술연구기관)로부터 요양급여 코드(reimbursement code)를 획득하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이 많은 로봇 연구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을 꿈꾸는 데에 용기를 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패널] 송상훈
      [패널] 송상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닫기
      [패널] 송상훈
      [패널] 송상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97-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대한민국 -의학사(MD)
          2005-200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서울, 대한민국 – 의학석사(MS)
          2011-201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서울, 대한민국 – 의학박사(PhD)

        • Professional Experience

          2011–2012 임상강사, 비뇨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2–2013 임상강사, 비뇨의학과, 서울아산병원
          2013–2017 임상조교수, 비뇨의학과, 서울아산병원
          2018–2023 부교수, 비뇨의학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2021-현재 아산생명과학연구원 과학기획조정실 부실장

        • Research Interests

          소아비뇨의학
          로봇 및 최소침습수술
          비뇨기계 기형 및 재건수술
          비뇨기 질환 진단 및 영상/AI 활용
          배뇨장애, 요실금, 요도협착 등의 기능성 비뇨기질환 연구

        • Honors & Awards

          2015.11.10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 비디오상
          2017.05.28 대한비뇨초음파학회 우수연구상
          2017.09.28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연구상
          2018.04.07 대한소아비뇨의학회 Ferring Award (최우수연구상)
          2018.10.04 제38회 국제비뇨의학회(SIU 2018) 최우수 포스터상
          2021.04.17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최우수논문상
          2021.10.08 제1회 KSER 로봇비뇨수술 비디오학술대회 소아·양성질환 부문 2위
          2021.11.05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 최우수 초록발표상
          2022.04.02 대한소아비뇨의학회 Ferring Award (최우수연구상)
          2022.05.29 대한비뇨초음파학회 연구비 지원상
          2022.10.22 아시아·태평양소아비뇨학회(APAPU 2022) 다이아몬드상
          2023.04.08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윤울로상 (최우수연구상)

        • Publications

          1) Surgical Technique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Urology, Chapter 59: Ureterocele Incision,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The Health Sciences Publisher, New Delhi/London, ISBN: 978-93-5270-204-6
          2) 비뇨의학 제 6판, 성분화이상, Chapter 35, 대한비뇨의학회, 일조각, ISBN: 978-89-337-0764-7 93510

          논문(Corresponding & First Author 중심)
          Song SH 외. Long-term Outcomes of Endoscopic Anti-reflux Surgery in Pediatric Patients with Vesicoureteral Reflux. J Korean Med Sci. 2018.
          Han JH, Song SH 외. Best ultrasound parameter for prediction of adverse renal function outcome after pyeloplasty. Int J Urol. 2020.
          Song SH 외. Preoperative Bladder Bowel Dysfunction... after Robot Assisted Laparoscopic Ureteral Reimplantation. J Endourol. 2021.
          Song SH 외. Deep-learning segmentation of ultrasound images... hydronephrosis. Investig Clin Urol. 2022.
          Kim YI, Song SH 외. Deep-Learning Segmentation of Urinary Stones... J Endourol. 2023. Song SH 외. Mesenchymal stem cells with an enhanced antioxidant capacity... Clin Transl Med. 2024. Kim DS, Song SH 외. Transurethral resection of an uncommon Brunn's cyst... Urology Journal. 2024.

          기타 활동(학회 등)
          2009–현재 대한비뇨의학회 정회원
          2012–현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정회원
          2021–현재 대한전립선학회, 대한내시경로봇비뇨의학회 위원
          2021–2023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총무이사
          2021–2023 대한소아요실금학회 학술위원장
          2023–현재 대한비뇨의학회 부총무이사
          2023–현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대외협력위원장
          2023–현재 대한소아요실금학회 대외협력위원장

      • Abstract
        • 수술로봇 도입과 병원의 역할

          의료용 로봇 산업은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며 핵심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외과 수술의 정밀도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회복 시간을 단축하며, 의료진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등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는 이러한 중대한 전환기에 놓인 의료용 로봇 산업의 현재를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글로벌 시장의 최신 기술 동향, 주요 경쟁 구도, 그리고 국내 시장의 특수성을 면밀히 분석할 것입니다. 나아가, 국산 수술 로봇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병원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병원은 단순한 기술 수용자를 넘어, 국산 기술의 임상 효용성을 검증하고, 의료 현장에 최적화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기술 고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의료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로봇 도입을 위한 장기적인 재정 및 운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성공적인 기술 통합의 핵심 과제입니다. 궁극적으로, 병원과 국내 로봇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은 환자에게 최첨단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국내 의료 기술 생태계의 자생적 성장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입니다.

    • [패널] 원종윤
      [패널] 원종윤
      세브란스병원 교수
      (대한의료로봇학회 교육부회장)
      닫기
      [패널] 원종윤
      [패널] 원종윤
      세브란스병원 교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졸업
          의학박사
          영상의학과 전문의

        • Professional Experience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 페라자 부사장 – 혈관중재로봇개발스타트업

        • Research Interests

          혈관중재로봇

        • Honors & Awards

          Journal of vascular intervention – Best original research 2023 : Robot assisted Hepatic artery embolization

        • Publications

          Robot-Assisted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a Coaxial
          Microcatheter Driving Controlle-Responder Robot System: Clinical Pilot Study. JVIR 2023 etc..

  • S4 [9.12(금) 10:00~12:00] | 중국 NMPA 등록 최적 전략과 임상시험 대응방안

    • 중국 의료기기 등록 최적 전략 수립 방안
      Yolanda(颜佳靓)
      Yolanda(颜佳靓)
      CIRS Group 의료기기 사업부 / BD Manager
      닫기
      Yolanda(颜佳靓)
      Yolanda(颜佳靓)
      CIRS Group 의료기기 사업부 / BD Manager

      중국 의료기기 등록 최적 전략 수립 방안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Telecom Ecole de Management(Institut Mines Telecom Business School)
          Master Degree, Major in IMS

        • Professional Experience

          2019 – Present CIRS Group BD Manager of Medical Device Division

        • Research Interests

          Optimization of Medical Device Registration Strategy

      • Abstract
        • 중국 의료기기 등록 최적 전략 수립 방안

          Having worked in the medical device industry for 6 years, familiar with medical device registration, clinical evaluation, clinical trials,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s. skilled at designing appropriate registr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paths for domestic and imported medical devices.

    • 중국 의료기기 임상평가 경로 : 임상평가 비면제 대상 의료기기의 임상시험 대응 방안
      Cindy Fu(傅赛珍)
      Cindy Fu(傅赛珍)
      CIRS Group 의료기기 사업부 / 부총경리
      닫기
      Cindy Fu(傅赛珍)
      Cindy Fu(傅赛珍)
      CIRS Group 의료기기 사업부 / 부총경리

      중국 의료기기 임상평가 경로 : 임상평가 비면제 대상 의료기기의 임상시험 대응 방안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Zhejiang University of Technology
          Master Degree, Major in Mechanical Design and Theory

        • Professional Experience

          2009.10.15~2011.12.31 Hangzhou foresee Biotechnology Co., Ltd
          2012.1.1~2013.6.30 ACCB Biotechnology Co., Ltd. (Beijing, Jiaxing)
          2013.9.9~now Hangzhou CIRS Technology Group Co., Ltd

        • Research Interests

          Medical Device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 Regulatory Tracking
          NMPA registration for medical devices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s
          Clinical trials of medical devices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s
          Clin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s
          Establishmen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Devices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s

        • Honors & Awards

          Chinese toxicologist
          Medical device registration engineer
          QMS Internal Auditor

      • Abstract
        • 중국 의료기기 임상평가 경로 : 임상평가 비면제 대상 의료기기의 임상시험 대응 방안

          Graduated with a Master's degree in Mechanical Design and Theory from Zhejiang University of Technology in 2009. A nationally certified medical device registered engineer, a medical device quality system auditor, a Chinese toxicologist, and a cooperative expert of the China Medical Device Industry Association. Provide at least 5 on-site and online training sessions per year. Have rich experience i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duc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clinical trials, and product registr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devices and in vitro diagnostic reagents. Over the past 16 years, has obtained more than 600 registration certificates for over 100 enterprises and completed over 40 clinical trial projects.

  • S5 [9.12(금) 10:00~12:10] | 의료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 의료 AI의 혁신이 여는 메드텍의 현재와 미래
      김남국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 교수
      닫기
      김남국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 교수

      의료 AI의 혁신이 여는 메드텍의 현재와 미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91. 03 ~ 1995. 02 서울대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공학학사)
          1995. 03 ~ 1997. 02 서울대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공학석사)
          2004. 08 ~ 2008. 02 서울대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04. 08 ~ 2008. 09 울산의대 영상의학 연구원/촉탁연구교수
          2008. 09 ~ 2009. 10 Univ. of Utah Post-doc. Research Fellow
          2010. 04 ~ 2014. 02 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 연구조교수
          2014. 03 ~ 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융합/영상의학 조/부(겸직)/정교수

        • Research Interests

          의료인공지능, 3D 프린팅, 로봇 등을 이용한 중개융합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영상의학과, 병리과, 호흡기내과, 소화기내과, 마취과, (소아)중환자, 응급, 종양내과, 외과, 이빈후과, 치과 등 다양한 임상과와 협력하여 각종 질환에 대한 협력연구

        • Honors & Awards

          2024 과기부장관표창
          2023 제21회 화이자의학상(중개의학분야) 수상
          2023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 대한민국 의학한림원장상
          2021 보건복지부 장관상
          2021 식약처장상
          2020 울산의대 올해의 교수상(연구부분)
          2017 대통령 표창

        • Publications

          5년간 약 1만회 인용, 47 h-index, 248 i10-index의 연구 업적(2025.7@구글스칼라)을 가지고 있으며, 한빛사(IF>10)에 17개의 논문

    • 의료AI 의료기기 어떻게 시장으로 가는가? : 제도변화를 중심으로
      김권호
      김권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연구원
      닫기
      김권호
      김권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연구원

      의료AI 의료기기 어떻게 시장으로 가는가? : 제도변화를 중심으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 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한국보건의료연구원(’19.11~’20.8)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8~현재)

        • Research Interests

          혁신의료기기 일반·통합 지정제도 운영(’20.8~’25.7),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25.7~)

        • Honors & Awards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22)

    • 임상 현장에서의 의료 AI 소프트웨어 적용
      박승균
      박승균
      루닛 / CPO
      닫기
      박승균
      박승균
      루닛 / CPO

      임상 현장에서의 의료 AI 소프트웨어 적용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KAIST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학부 / 석사 / 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루닛 Co-founder

        • Research Interests

          AI / 인공지능

    • AI를 진료에 담다 : 영상의학 AI의 가능성과 과제
      박창민
      박창민
      서울대학교병원 / 교수
      닫기
      박창민
      박창민
      서울대학교병원 / 교수

      AI를 진료에 담다 : 영상의학 AI의 가능성과 과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1992 – 199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6 –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2021 – 2022 2022 아시아 오세아니아 영상의학회 AI 위원장
          2023 – 2024 대한흉부영상의학회 총무이사
          2021 – 현재 대한영상의학회 연구이사
          2023 – 현재 플라이슈너 학회 회원
          2025 – 현재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 회장

        • Research Interests

          영상의학, 의료 인공지능

          1. Radi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I): from development to clinical implementation
          2. Lung nodules, lung cancer imaging & radiomics
          3. Percutaneous lung biopsies and other thoracic interventional procedures

        • Honors & Awards

          2021 의료기기 산업대상 대상
          2022 태준영상의학상
          2022 대한의학한림원장상
          2022 보건의료기술유공자 장관 표창
          2024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

        • Publications

          260 SCI/SCIE articles & 146 papers as first/corresponding author (H-index = 64)
          AI Applications for Thoracic Imaging: Considerations for Best Practice. Radiology. 2025 Feb;314(2):e240650. doi: 10.1148/radiol.240650.
          Effect of Human-AI Interaction on Detection of Malignant Lung Nodules on Chest Radiographs. Radiology. 2023 Jun;307(5):e222976. doi: 10.1148/radiol.222976.
          AI: Workload Reduction by Autonomous Reporting of Normal Chest Radiographs. Radiology. 2023 May;307(3):e230252. doi: 10.1148/radiol.230252. Epub 2023 Mar 7

      • Abstract
        • 의료영상 인공지능 기기의 개발과 임상적용: 성공과 숙제

          의료분야는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개발/적용되고 있는 분야로서, 현실 의료의 한계를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특히 영상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AI 의료기기의 개발 협력 과정과 실제 진료 현장에서의 활용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로서, 임상에서 효과적이었던 점과 한계점, 그리고 개발자들이 임상 적용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말씀드릴 예정입니다.

    • 진단을 돕는 신호, 신뢰를 얻는 기술 : 심전도 인공지능의 현장 도입 스토리
      이민성
      이민성
      메디컬에이아이 / 상무
      닫기
      이민성
      이민성
      메디컬에이아이 / 상무

      진단을 돕는 신호, 신뢰를 얻는 기술 : 심전도 인공지능의 현장 도입 스토리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서울대학교 임상의과학과, 석사 (2019.3 – 2021.2)
          서울대학교 의학과, 학사 (2006.3 – 2010.2)
          서울대학교 의예과, (2004.3 – 2006.2)

        • Current position

          메디컬에이아이 주식회사 의료그룹 리드, 최고연구책임자 (2021.8 ~)
          세종병원그룹 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 소장 (2021.8 ~)

        • Clinical position

          인턴, 서울대학교병원 (2010)
          전공의, 응급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1–2014)
          임상강사, 응급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8–2019)
          임상강사, 중환자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8–2019)
          임상진료교수, 응급의학과, 서울대학교병원 (2019–2021)

        • Research Field

          AI-ECG

        • Major Pub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ed to electrocardiogram to rule ou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ROMIAE multicentre study, European Heart Journal, Volume 46, Issue 20, 21 May 2025, Pages 1917–1929, https://doi.org/10.1093/eurheartj/ehaf004 외 다수.

      • Abstract
        • AI-ECG: 현재와 미래

          인공지능 심전도(AI-ECG)는 이미 심혈관 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현재는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 급성 심근경색, 좌심실 충만압 상승 등을 탐지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대규모 다기관 연구를 통해 성능이 검증되었습니다. 진단을 넘어 AI-ECG는 예후 예측과 위험도 분류, 환자 모니터링에까지 확장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는 임상 현장으로의 폭넓은 적용입니다. EMR/PACS 시스템, 웨어러블 기기, 현장 진단 도구와의 통합이 필요하며, 설명가능성, 다양한 인구집단에 대한 외부 검증, 복잡한 리듬에 대한 적응력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AI-ECG는 단일 질환 중심 도구를 넘어, 선별검사·모니터링·정밀 예후 예측을 아우르는 보편적 디지털 바이오마커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 망막으로 보는 건강 : AI가 만든 새로운 의료기술의 여정
      최태근
      최태근
      메디웨일 / 대표
      닫기
      최태근
      최태근
      메디웨일 / 대표

      망막으로 보는 건강 : AI가 만든 새로운 의료기술의 여정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공학학사 (2010)

        • Professional Experience

          메디웨일 대표이사 (2016~)

        • Research Interests

          Diabetes
          Cardiovascular, Kidney and Metabolic Syndrome
          Obesity

        • Honors & Awards

          Digital Health Startups Top 50 - 2024 (CB Insights)
          NextRise Award 2025 - Top Innovator (KDB 산업은행, KITA 한국무역협회, N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 KOVA 벤처기업협회, KVCA 한국벤처캐피탈협회)
          AstraZeneca CKD Challenge 2023 우승 (AstraZeneca)
          2023 CES Innovation Awards (CES)
          제5회 스마트대한민국대상 – 창업진흥원장상 (아주경제)
          Digital Health Awards 2024 [Provider Diagnostic] – Quarterfinalist (HLTH)
          NVIDIA Inception Program (NVIDIA)

        • Publications

          “RESToring Clarity: Unpaired Retina Image Enhancement Using Scattering Transform" (Oh, E. J., et al., MICCAI 2023)

      • Abstract
        • 서론 (Background)
          심혈관 질환(CVD)의 조기 예측은 주요한 의학적 과제이다. 본 연구는 비침습적으로 전신 혈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망막에 주목, AI 분석을 통해 CVD 위험을 정량화하는 최초의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상용화했다.

          방법 (Methods)
          망막 혈관의 미세 패턴 변화와 CVD 위험의 상관관계를 학습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닥터눈 CVD'를 개발했다. 본 기술은 환자의 안저 영상 한 장만으로 수 초 내에 향후 CVD 발생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한다.

          결과 (Results)
          '닥터눈 CVD'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망막 기반 CVD 예측 AI 솔루션이다. 기술의 혁신성과 시장성을 인정받아, 한국 정부로부터 규제 절차를 단축하고 신속한 시장 진입을 허용하는 '평가유예 신의료기술 1호(외래환자 기준)'로 지정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1차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센터를 포함한 국내외 수백 곳의 기관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스캔당 과금(fee-per-scan) 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매출 구조를 구축했다. 또한, 별도의 의료행위 수가를 확보하여 건강보험 시스템에 안착하는 등, 명확한 상업화 경로를 확립했다.

          결론 (Conclusion)
          본 AI 바이오마커는 기존의 사후 치료 중심 패러다임을 정량적 '예방'과 '조기 예측'으로 전환시키는 'First-in-Class'이자 'Best-in-Class' 기술이다. 나아가, 심혈관을 시작으로 신장 및 뇌 질환 등 다양한 전신 질환으로 예측 범위를 확장하는 플랫폼 기술로서, 정밀 예방의학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 글로벌 의료 AI 벤처투자 동향 및 투자 패러다임 전환
      박수용
      박수용
      블루포인트파트너스 / 팀장
      닫기
      박수용
      박수용
      블루포인트파트너스 / 팀장

      글로벌 의료 AI 벤처투자 동향 및 투자 패러다임 전환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Biological Sciences 학사

        • Professional Experience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수석심사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원

  • S6 [9.12(금) 13:30~15:30] | CE MDR : A General Overview with NB Perspective

  • S7 [9.12(금) 13:30~17:05] | 의료기기 전주기 통합 설명회

    •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소개
      정태영
      정태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책임연구원
      닫기
      정태영
      정태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책임연구원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소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통상학 학사

        • Professional Experienc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 책임연구원
          (혁신의료기기 연구개발 정보관리기관 운영중)

      • Abstract
        •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소개

    • 국내 의료기기 허가 절차
      김세중
      김세중
      식품의약품안전처 / 사무관
      닫기
      김세중
      김세중
      식품의약품안전처 / 사무관

      국내 의료기기 허가 절차

    • 건강보험 등재절차 (의료행위)
      이유진
      이유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의료행위등재부 팀장
      닫기
      이유진
      이유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의료행위등재부 팀장

      건강보험 등재절차 (의료행위)

      • Curriculum Vitae
        • Professional Experience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4~)

      • Abstract
        • 건강보험 등재절차 (의료행위)

          신의료기술의 건강보험 적용과 규제 개선 노력 등

    • 치료재료 보험등재 및 관리
      엄현신
      엄현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치료재료등재부 팀장
      닫기
      엄현신
      엄현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치료재료등재부 팀장

      치료재료 보험등재 및 관리

      • Abstract
        • <치료재료 보험등재 및 관리>

          1. 건강보험제도 개요
          2. 건강보험 치료재료 개요
          3. 치료재료 건강보험 등재
          4. 치료재료 정보공개

    •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최원정
      최원정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팀장
      닫기
      최원정
      최원정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팀장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보건학 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06~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0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Research Interests

          보건정책

      • Abstract
        •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의료기기 국제인증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소개 및 주요 수출국 인허가 대응방안
      정경호
      정경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의료전기센터장
      닫기
      정경호
      정경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의료전기센터장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의료기기 국제인증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소개 및 주요 수출국 인허가 대응방안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공학박사

        • Professional Experience

          전 LG전자 책임연구원
          전 영국전기공학회 논문심사위원
          현 KTR 센터장
          현 산업부 NET(신기술) 인증 평가위원

        • Research Interests

          디지털의료제품 인허가, 의료기기 해외 인허가

        • Honors & Awards

          산업부장관 표창(무역의날)

      • Abstract
        • 보건복지부의 ‘의료기기 국제인증 지원사업’을 설명하고, 유럽 CE MDR, 미국 FDA제도 등 수출국가별 인허가 제도 분석을 통해 대응방안을 제시

    •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상담을 활용한 시장진입 성공 사례 발표
      류은주
      류은주
      바이랩 / 상무
      닫기
      류은주
      류은주
      바이랩 / 상무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상담을 활용한 시장진입 성공 사례 발표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경북대학교 행정학 학사

        • Professional Experience

          포스텍 연구처 (2005.11 ~ 2020.09)
          바이랩 (2020.09 ~ 현재)

      • Abstract
        • 바이랩은 전기임피던스단층영상술을 기반으로 심폐모니터링 기기를 개발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시장에 없는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 진입을 위해 해소해야 할 애로사항을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를 어떻게 활용하였고 효과를 보았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 신개념 의료기기 기술사업화를 통한 혁신의료기기시장 진입 사례
      양인철
      양인철
      솔메딕스 / 대표
      닫기
      양인철
      양인철
      솔메딕스 / 대표

      신개념 의료기기 기술사업화를 통한 혁신의료기기시장 진입 사례

      • Curriculum Vitae
        • Education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박사수료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석사
          건국대학교 의공학과, 학사

        • Professional Experience

          동국대학교 의료기기산업학과, 겸임교수
          (주)솔메딕스, 설립자, 대표이사
          미국 베일러 의과대학, 신경외과, 방문연구원

        • Research Interests

          최소 침습 수술용 의료기기, 바이오 융합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의료기기 오픈이노베이션 BM

        • Honors & Awards

          2022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 (벤처창업진흥 유공)
          2022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기술사업화 유공)

        • Publications

          Inchul Yang, Suryeon Kim, Hochul Kang, Hyegyeong Lee, Jiyean Kwon, Sungmin Kim, “ A Study on Evaluation of Bioabsorbable Anchor (PLGA+ β-TCP) Through Mechanical Test Under Moisture Difference”, Journal of Medical Devices, Vol. 10, September2016, pp. 030962-1-2.
          Kwonsoo Chun, Inchul Yang, Namhoon Kim, Dosang Cho, “Effect of Device Rigidity and Physiological Loading on Spinal Kinematics after Dynamic Stabilization : An In-Vitro Biomechanical Study”, J Korean Neurosurg Soc, 58(5), 2015, pp.412-418

      • Abstract
        • 신개념 의료기기 기술사업화를 통한 혁신의료기기시장 진입 사례

          의료현장 아이디어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병원 기술 도입을 통한 경피적 성대주입술을 위한 혁신의료기기 제품화 경험
          의료기기 기술사업화를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모델